인터넷 강의를 듣는데 백엔드 개발을 할 때, 유용하게 사용하는 것을 보고 기록한다.
설치하는 방법은 아래의 출처를 통해 설치를 했다.
이것에 장점은 Intelij에 window cmd기능이 terminal로 제공되어
바로 url 정보를 확인 할 수 있다.
사용법은
서버 구동이 되었다면 각 requestMapping에 맞는 GET, POST 방식을 지정하면 된다.
인터넷 강의에선 스프링부트 기반에 잭슨을 이용하였다.
GET방식으로 호출하면 해당 도메인 객체(DTO개념?)을 return해주면 JSON형식에 데이터가 출력되었다.
POST방식은 create(@RequestBody [domain객체] resource) 데이터를 받아와서 처리하는 것 같다.
아마 프론트엔드에선 json형식으로 데이터를 보내주는 것으로 보인다.
httpie에선 아래에 방식으로 프런트에서 보내줄 json데이터를 세팅하는 것으로 보인다. 확인해 볼 필요가 있음
window cmd 기준
(GET방식) http GET localhost:8080/매핑명
(POST방식) http POST localhost:8080/매핑명 name="홍길동" address="서울"
(JSON방식) http POST localhost:8080/매핑명 < 파일명.json
출처 : https://luji.tistory.com/99
httpie Windows에서 설치하기
httpie란? 파이선에서 개발된 유틸리티로 http 개발이나 디버깅 용도로 사용된다. 사용성이 쉬우면서 json이 내장되어있다. 가독성이 뛰어나며 기타 장점들이 있음. 보통 리눅스나 맥에선 yum, apt, brew로 httpie..
luji.tistory.com